1976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은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핸드볼 종목이다. 남자 11개국, 여자 6개국에서 총 230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며, 소련이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루마니아와 동독이 각각 남자부와 여자부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폴란드와 헝가리가 동메달을 가져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76년 하계 올림픽 축구
1976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캐나다 몬트리올 등 4개 도시에서 개최되었고, 동독이 금메달을, 폴란드가 은메달을, 소련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안제이 샤르마흐가 6골로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1976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76년 하계 올림픽 농구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 농구는 남자부에서 미국, 유고슬라비아, 소련이 각각 금, 은, 동메달을, 여자부에서는 소련, 미국, 불가리아가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하며 남자 12개국, 여자 6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다.
1976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이름 | 1976년 하계 올림픽 핸드볼 |
개최국 | 캐나다 |
개최지 | 몬트리올 |
기간 | 1976년 7월 18일 – 7월 28일 |
참가 팀 수 | 18 |
이전 대회 | 1972년 하계 올림픽 |
다음 대회 | 1980년 하계 올림픽 |
메달리스트 (남자) | |
금메달 | 소련 |
은메달 | 루마니아 (1965-1989) |
동메달 | 폴란드 |
4위 | 서독 |
메달리스트 (여자) | |
금메달 | 소련 |
은메달 | 동독 |
동메달 | 헝가리 |
4위 | 루마니아 (1965-1989) |
2. 참가국
각 참가국은 최대 14명의 선수로 팀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모든 선수가 경기에 참가할 자격을 가졌다. 총 12개국에서 230명(남자 148명, 여자 82명)의 핸드볼 선수가 몬트리올 올림픽에 참가했다. 이는 최소 한 경기 이상 참가한 선수를 기준으로 한 수치이다. 캐나다, 헝가리, 일본, 루마니아, 소련 5개국은 남녀 토너먼트에 모두 참가했다. 일본은 남자 12명, 여자 12명으로 다른 국가들과 달리 14명보다 적은 인원으로 팀을 구성했다. 덴마크 선수 1명, 헝가리 선수 2명, 체코슬로바키아 선수 1명 등 총 4명의 남자 선수는 로스터에 포함되었으나 실제 경기에 참가하지는 않았다.
남자 종목에는 본래 튀니지를 포함한 12개국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아프리카 국가들의 보이콧[2]으로 튀니지가 불참하면서 총 11개국이 참가했다.
아래는 참가국 목록과 국가별 참가 선수 수이다.
국가 | 총 선수 | 남자 선수 | 여자 선수 |
---|---|---|---|
캐나다 | 28 | 14 | 14 |
체코슬로바키아 | 13 | 13 | 0 |
덴마크 | 13 | 13 | 0 |
동독 | 14 | 0 | 14 |
서독 | 14 | 14 | 0 |
헝가리 | 26 | 12 | 14 |
일본 | 24 | 12 | 12 |
폴란드 | 14 | 14 | 0 |
루마니아 | 28 | 14 | 14 |
소련 | 28 | 14 | 14 |
미국 | 14 | 14 | 0 |
유고슬라비아 | 14 | 14 | 0 |
남자부는 11개국, 여자부는 6개국이 참가하여 경기를 진행했다. 여자 핸드볼은 이 대회에서 처음으로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6개 참가국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풀 리그전을 치러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3. 경기 결과
남자부는 원래 튀니지를 포함한 12개국이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뉴질랜드 럭비 대표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원정에 항의하는 아프리카 국가들의 보이콧[2]으로 튀니지가 불참하면서 11개국으로 진행되었다. 참가국들은 6개국(A조)과 5개국(B조)의 두 그룹으로 나뉘어 풀 리그 예선전을 치렀다. 이전 대회와 달리 별도의 결승 라운드는 없었고, 각 조의 예선 리그 순위에 따라 최종 순위 결정전을 치렀다. 즉, 각 조 1위 팀이 결승전, 2위 팀이 3위 결정전, 3위 팀이 5위 결정전, 4위 팀이 7위 결정전, 5위 팀이 9위 결정전에 진출했다. 한편, 예선 리그 A조에서 6위를 한 캐나다는 예선 리그 B조에 6위 팀이 없어(튀니지의 불참) 자동으로 최하위인 11위가 되었다.
3. 1. 남자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 핸드볼 남자 종목에는 총 12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들은 6개 팀씩 A조와 B조로 나뉘어 예선 리그를 치렀다.
대회 도중 튀니지는 뉴질랜드 럭비 대표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원정에 항의하며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함께 1976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에 동참하여 기권했다.
예선 리그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 팀은 결승전, 2위 팀은 동메달 결정전에 진출했으며, 나머지 팀들은 5위부터 11위까지 순위를 결정하는 경기를 치렀다. A조에서는 소련과 서독이, B조에서는 루마니아와 폴란드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메달 결정전에 올랐다.
최종 순위 결정 결과, 소련이 금메달, 루마니아가 은메달, 폴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서독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폴란드에 패배하여 4위에 머물렀다.
3. 1. 1. 예선 리그
18-16●
18-20○
24-16○
26-16○
25-94승1패 111 77 +34 8 2 서독 ●
16-18- ○
18-17○
18-14○
19-16○
26-114승1패 97 76 +21 8 3 유고슬라비아 ○
20-18●
17-18- ○
25-17○
26-22○
22-184승1패 110 93 +17 8 4 덴마크 ●
16-24●
14-18●
17-25- ○
21-17○
24-182승3패 92 102 -10 4 5 일본 ●
16-26●
16-19●
22-26●
17-21- ○
25-191승4패 96 111 -15 2 6 캐나다 ●
9-25●
11-26●
18-22●
18-24●
19-25- 5패 75 122 -37 0